반응형
안녕하세요! 디지털 세상이 편리하지만, 개인정보 유출 사고 소식에 걱정이 많으시죠? 특히 시니어분들은 더욱 불안하실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몇 가지 예방법만 잘 알아두시면 안전하게 디지털 생활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.
오늘은 ‘개인정보보호법’에서 쉽고 중요한 내용만 쏙쏙 뽑아 알려드릴게요!
개인정보는 나를 지키는 첫걸음입니다.
개인정보와 개인정보 유출이란 무엇인가?
- 이름, 주소, 주민등록번호는 물론 휴대전화 뒷자리 4개만으로도 개인정보에 해당합니다.
- 얼굴 사진, 음성, 검색 기록, 심지어 대출 정보나 건강 정보도 모두 포함됩니다.
. 개인정보 유출이란 무엇인가요?
▶ 유출과 노출의 차이
- 유출: 권한이 없는 사람이 개인정보를 볼 수 있는 상태 (예: 해킹, USB 분실)
- 노출: 누구나 볼 수 있는 곳에 개인정보가 게시된 상태 (예: 블로그나 게시판 글)
▶실제로 일어났던 유출 사례들
- 전체 지원자의 개인정보가 담긴 파일을 실수로 발송
- 실수로 엑셀 파일을 잘못 보낸 경우
▶ 홈페이지에 노출된 게시글
- 게시판 글에 주민등록번호가 들어가 있던 사례도 있어요
▶ 내부직원의 고의 유출
- 퇴사한 직원이 개인정보를 USB에 담아 유출한 경우
- 전체 지원자의 개인정보가 담긴 파일을 실수로 발송
▶ 홈페이지에 노출된 게시글
- 게시판 글에 주민등록번호가 들어가 있던 사례도 있어요
▶내부직원의 고의 유출
- 퇴사한 직원이 개인정보를 USB에 담아 유출한 경우
개인정보에는 이름, 전화번호뿐 아니라 주민등록번호, 계좌번호 등도 포함돼요.
공개된 정보도 개인정보일 수 있다?
- 이미 인터넷에 올라온 정보라도 ‘누군지 알 수 있다면’ 개인정보입니다.
- 예: 교수님 연락처, 블로그 댓글의 성명 등
- SNS 공개 범위 설정: SNS에 올리는 개인정보는 신중하게 생각하고 공개 범위를 제한하세요.
- 필요한 정보만 제공: 웹사이트나 앱 이용 시 불필요한 개인정보 제공은 최소화하세요.
- 가족이나 지인에게도 주의 당부: 주변 분들에게도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알려주세요.
개인정보 함부로 공유하지 마세요!
- SNS 공개 범위 설정: SNS에 올리는 개인정보는 신중하게 생각하고 공개 범위를 제한하세요.
- 필요한 정보만 제공: 웹사이트나 앱 이용 시 불필요한 개인정보 제공은 최소화하세요.
- 가족이나 지인에게도 주의 당부: 주변 분들에게도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알려주세요.이름, 생년월일을 요청받을 때는 ‘왜 수집하는지, 어떻게 쓰는지’를 꼭 안내받아야 합니다.
- 동의는 선택사항이지만, 이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주는 건 불법입니다.
- 필수는 체크하되 선택은 체크를 하지 않는다.
비밀번호, 튼튼하게 관리하세요!
- 주민등록번호는 법에 명확한 근거가 없으면 수집 자체가 금지됩니다.
- 특히, 채용 과정에서는 절대 요구해서는 안 됩니다.
- 비밀번호 어렵게 만드세요: 생일, 전화번호처럼 쉬운 비밀번호는 절대 안 돼요! 영문 대소문자, 숫자, 특수문자를 섞어서 8자리 이상으로 만들어주세요.
- 사이트마다 다르게: 여러 사이트에서 똑같은 비밀번호를 쓰면 한 곳이 털렸을 때 모두 위험해져요. 조금 번거롭더라도 사이트마다 다른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- 주기적으로 바꿔주세요: 비밀번호는 최소 3개월에 한 번씩 변경해주는 것이 좋습니다.
- 안전한 곳에 보관하세요: 비밀번호를 종이에 적어두거나 컴퓨터 파일에 저장하는 것은 위험해요. 비밀번호 관리 프로그램이나 수첩에 적어두되, 다른 사람이 쉽게 볼 수 있는 곳은 피해주세요.
컴퓨터와 스마트폰, 보안을 튼튼하게
- 백신 프로그램 설치 및 업데이트: 백신 프로그램은 악성코드로부터 기기를 보호해줍니다. 반드시 설치하고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세요.
- 운영체제 및 앱 업데이트: 운영체제나 앱의 업데이트에는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 알림이 뜨면 바로 업데이트해주세요.
- 와이파이 보안 확인: 공공 와이파이는 보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. 중요한 정보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거나, VPN(가상 사설망)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화장실, 탈의실, 목욕탕 등은 CCTV 설치 금지!
- 설치할 경우 반드시 안내판을 설치해야 합니다.
유출 예방을 위한 3가지 수칙
▶첫째, 게시판에 개인정보 입력 금지
- 문의글 작성 시 전화번호나 주소는 입력하지 마세요.
- 꼭 입력해야 한다면 비공개 설정!
▶둘째, 파일 첨부 시 내용 꼭 확인
- 엑셀 파일은 숨겨진 시트나 메모에 개인정보가 없는지 체크
- 이미지 파일에도 개인정보가 들어갈 수 있어요
▶셋째, 이상한 메일·문자 클릭 금지
-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은 열지 말고 삭제
- ‘당신의 택배가 도착했습니다’ 같은 링크는 피싱일 수 있어요
- 모르는 전화나 문자는 조심: "개인정보가 유출됐다", "긴급하게 돈을 보내라"는 등의 내용은 대부분 사기입니다. 절대 개인정보를 알려주거나 돈을 보내지 마세요.
-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는 클릭 금지: 문자나 이메일에 있는 수상한 링크는 악성코드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 함부로 누르지 마세요.
- 개인정보 요구는 신중하게: 웹사이트나 앱에서 불필요한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요구한다면 이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.
나의 권리를 꼭 챙기세요!
- 열람, 정정, 삭제, 처리 정지까지 요청할 수 있습니다.
- 공공기관은 홈페이지에서도 신청 가능합니다 (예: privacy.go.kr)
- 관련 기관에 신고: 개인정보 유출이 의심된다면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(국번 없이 118)나 경찰청 사이버수사국에 즉시 신고하세요.
- 비밀번호 변경: 유출이 확인되면 즉시 모든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하세요.
- 카드 및 계좌 정지: 필요하다면 카드사나 은행에 연락하여 카드 및 계좌를 정지시키세요.
마무리하며
개인정보 보호는 누구나 알아야 할 ‘디지털 시대의 기본 소양’입니다. 특히 시니어 세대가 더 안전하게 스마트한 생활을 하시려면, 이런 기본적인 내용을 꼭 알고 계시는 것이 중요하답니다.
개인정보는 나와 가족의 안전과 직결되며 실수 한 번으로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요.
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과 인터넷 환경 속에서 우리 스스로를 지키는 습관, 꼭 만들어가요!

반응형
'스마트폰 기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마트폰 유심 도용 예방! SKT 유심보호서비스 무료 가입법 3단계 (3) | 2025.04.29 |
---|---|
사진이 뒤죽박죽? 갤럭시에서 앨범 정리하는 가장 쉬운 방법! (5) | 2025.04.19 |
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폰 문자 메시지 기능 완전 정복 (2) | 2025.04.18 |
인생의 두 번째 봄, 사진으로 시작해보세요 (3) | 2025.04.14 |
누구나 모델이 되는 마법! 포토퍼니아(Photofunia) 앱으로 나만의 멋진 사진 만들기 (3) | 2025.04.13 |